부여군 왕능우물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547
'왕능우물'에서 0km
바로가기
부여군 거무내정약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352번길 11
'왕능우물'에서 1.6km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352번길 11
바로가기
거무내정약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352번길 9
'왕능우물'에서 1.8km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352번길 9
바로가기
조왕사약수
'왕능우물'에서 2.1km
바로가기
부여군 조왕사약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가탑리 404-15
'왕능우물'에서 2.1km
바로가기
부여군 구정문약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28-22
'왕능우물'에서 3.1km
바로가기
구정문약수
'왕능우물'에서 3.1km
바로가기
부여군 태자수약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쌍북리 산4
'왕능우물'에서 3.2km
바로가기
8호소공원
'왕능우물'에서 1.8km
바로가기
소공원 2
'왕능우물'에서 1.86km
바로가기
소공원 1
'왕능우물'에서 1.9km
바로가기
4호소공원
'왕능우물'에서 2.05km
바로가기
소공원 3
'왕능우물'에서 2.05km
바로가기
3호소공원
'왕능우물'에서 2.05km
바로가기
소공원 4
'왕능우물'에서 2.05km
바로가기
소공원 5
'왕능우물'에서 2.06km
바로가기
5호소공원
'왕능우물'에서 2.06km
바로가기
어린이 공원 6
'왕능우물'에서 2.1km
바로가기
6호어린이공원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계백로 418-11
'왕능우물'에서 2.1km
바로가기
가탑 소공원
'왕능우물'에서 2.11km
바로가기
금성로
가탑리(대왕초등)~부여박물관
'왕능우물'에서 2.59km
바로가기
흑천로
시설관리공단~민윤기치과
'왕능우물'에서 2.61km
바로가기
궁남로
궁남사거리~궁남지주차장
'왕능우물'에서 2.89km
바로가기
석탑로
미성삼거리~부여중~궁남사거리
'왕능우물'에서 2.99km
바로가기
사비로
보건소로터리~군청~커피베이
'왕능우물'에서 3.16km
바로가기
부장대로
강촌우렁이 ~ 대교세차장
'왕능우물'에서 3.34km
바로가기
나루터로
함흥냉면~구드래공원~백제대교(강변길)
'왕능우물'에서 3.52km
바로가기
성왕로
가탑교차로~대향로~경찰서~부여교차로
'왕능우물'에서 3.61km
바로가기
국도4호선
석성면(논산경계)~옥산면(서천경계)
'왕능우물'에서 9.04km
바로가기
국도29호선
양화면(서천경계)~은산면 나령리(청양경계)
'왕능우물'에서 16.56km
바로가기
711가로수 조성사업 (용안덕용교차로~성당교차로)
용안덕용교차로~성당교차로
'왕능우물'에서 18.3km
바로가기
백제로 가로수 식재사업
723지방도 웅포대교~숭림사생태통로
'왕능우물'에서 19.8km
바로가기
사비길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87
'왕능우물'에서 2.11km
바로가기
백마강길
'왕능우물'에서 2.68km
바로가기
함라산둘레길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함라면 천남1길 13
'왕능우물'에서 16.49km
바로가기
고비고개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중앙로 43
'왕능우물'에서 27.26km
바로가기
서천 금강2경 도보여행길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산로 849
'왕능우물'에서 29.52km
바로가기
계룡산둘레길
경상남도 거제시 계룡로11길 35
'왕능우물'에서 30.86km
바로가기
황토메타길
세종특별자치시 공주시 금남면 산림박물관길 110
'왕능우물'에서 30.97km
바로가기
구불1길(비단강길)
'왕능우물'에서 31.13km
바로가기
구불2길(햇빛길)
'왕능우물'에서 31.54km
바로가기
성지순례길
서울특별시 용산구 원효로19길 49
'왕능우물'에서 32.04km
바로가기
생태원길(배롱나무길)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장산로 849
'왕능우물'에서 34.35km
바로가기
세종마을A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9
'왕능우물'에서 36.3km
바로가기
공영자전거 정림사지 대여소
'왕능우물'에서 2.63km
바로가기
공영자전거 부소산성 대여소
'왕능우물'에서 2.86km
바로가기
공영자전거 궁남지 대여소
'왕능우물'에서 2.91km
바로가기
부여읍사무소 정문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36
'왕능우물'에서 3.08km
바로가기
부여군청 신관 좌측 출입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사비로 33
'왕능우물'에서 3.16km
바로가기
부여군 보건소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성왕로 205
'왕능우물'에서 3.27km
바로가기
탄천 커뮤니티복합주거시설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산업단지길 123-22
'왕능우물'에서 10.84km
바로가기
세도보건지소
충청남도 부여군 세도면 세도중앙로 10
'왕능우물'에서 11.84km
바로가기
채운면사무소
'왕능우물'에서 12.63km
바로가기
조흥로즈빌아파트
'왕능우물'에서 14.32km
바로가기
취암동주민센터
'왕능우물'에서 14.34km
바로가기
한국수자원공사 논산수도센터
'왕능우물'에서 14.72km
바로가기
(주)호텔롯데 스카이힐 부여 CC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578번지
'왕능우물'에서 5.03km
바로가기
더힐컨트리클럽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우리 266번지 7호
'왕능우물'에서 20.08km
바로가기
웅포컨트리클럽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 172-9번지
'왕능우물'에서 23.47km
바로가기
베어포트리조트(대중18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웅포면 웅포리 172-9번지
'왕능우물'에서 23.47km
바로가기
계룡산골프장
'왕능우물'에서 25.79km
바로가기
아리스타 컨트리클럽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화정리 100번지 0호
'왕능우물'에서 26.27km
바로가기
아리스타컨트리클럽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화정리 100번지 0호
'왕능우물'에서 26.27km
바로가기
유성컨트리클럽
대전광역시 유성구 덕명동 215번지 7호
'왕능우물'에서 32.17km
바로가기
에스앤골프리조트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면 양항리 645번지 5호
'왕능우물'에서 35.24km
바로가기
상떼힐익산간이골프장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덕기동 760번지 15호
'왕능우물'에서 35.76km
바로가기
익산컨트리클럽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덕기동 760번지 15호
'왕능우물'에서 35.76km
바로가기
에딘버러 컨트리클럽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행정리 산 473번지 5호
'왕능우물'에서 36.75km
바로가기
가자우물 근처에서는 그의 손자 김익로의 묘를 통과해야만 했다. 정조는 현륭원까지 능 행차를 13차례 했는데, 처음에는 삼남대로를 주로 이용했다. 하지만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연을 수원에서 연 1795년(정조 19년)부터 정조는 노량나루를 지나 금천과 안양을 거쳐 현륭원에 참배를 가는 금천로를 개척했다. 청풍...
나를 찾아가는 나...(2025-01-22 14:07:00)
찐 후기를 들려드릴게요. 세계유산에 등재된 왕의 안식처, 조선왕릉의 역사를 찾아 떠나는 여행! 지금 시작해 보겠습니다. 세종대왕릉은 조선의 4대왕, 세종대왕과 소헌왕후의 합장릉으로 왕과 왕비를 한 능에 합장한 곳이에요. 영릉은 조선 17대 임금 효종과 인선왕후의 능으로 언덕에 왕과 왕비의 능이 위아래로...
나랄라의 나릿나릿 역사여행(2024-02-25 17:28:00)
성덕왕능이고 여기 원성왕릉의 십이지신상은 무복차림으로 정북은 자(쥐)로 시계 반대방향과 정남 오(말)의 시계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하였고 신라시대에서 가장 우수하고 뛰어난 조각수법이다. 화염문검을 들고 있는 午(말)상 월(도끼)를 들고 있는 未(양)상 외날창을 들고 있는 寅(호랑이)상 십이지신(十二支神)은...
산은 스스로 푸르고 물은 절로 차가우네(2023-08-04 19:59:58)
적어서 왕능인지 의심이 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모순에도 불구하고 '삼국사기' 신라본기와 '삼국유사' 기이편에 의거하여 통일신라 중대 이후부터 사릉이라는...5명의 능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오릉 안에는 알영부인이 탄생하였다는 우물인 알영정과 조선 세종 11년에 세어진 박씨 재실인 숭덕전이 있다. 대릉원도...
"청월"의 산행일기 & 문화유산 탐방기(2023-11-28 20:52:00)
경주의 왕능이 아닌 지역사회에도 이런 고분군이 있다는 것은 오늘 새로이 안 사실이다. 6번째 코스 신라불교의 초전지 아도 모례원 아도 모례원은 구미시...신라에 불교를 처음 전한 아도 화상이 머물렀다는 모례장자의 집에 우물 유적이다. 김광수강사님의 말에 의하면 최근까지 이 우물을 사용하였다고 하는데 수도...
구미문화도시만들기(2016-05-12 11:31:00)
공양왕능과 궁촌항이 그림같이 보인다. 12 ; 37. 오름길이 끝나고 건너편에 202.6m봉이 보이고 뒤론 살해치와 지난구간의 산들이 다시 보인다. 12 : 57. 202.6m.판독어려운 삼각점(매원 401 이란다)이 있고 대진항과 갈 지맥에 파헤쳐진 삼척산업단지 공사장이 내려다 보인다. 13 ; 09. 2차선 도로를 건너고 13 : 11...
산경표를 따라서(2014-07-01 10:05:39)
세종대왕능이 우선 생각나고 그 외 명성왕후 등 많은 문화재가 산재한 도시이다. 오대산에서 발원한 남한강은 평창강, 주천강, 섬강을 거쳐 이곳 여주를 지나 두물머리에서 북한강과 합치게 된다. 이 고장 사람들은 이 강을 '여강(驪江)'이라 부른다. 이곳은 청동기 시대부터 농경 문화가 번성하였고, 대신면 보통리와...
내 흔적의 갈무리(2014-08-08 09:43:00)
미추왕능 주위엔 대나무 이파리만 쌓여 있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후세인들은 선왕인 미추왕이 죽엽군들을 보내 이서국 군대를 물리쳐 준 것으로 여겼기에, 미추왕릉을 죽현릉(竹現陵)이라 불렀다. 머리에 대나무 이파리를 꽂은 신출귀몰했던 군대는 사람인가? 귀신인가? 이런 죽엽군 설화는 이서국이 망한 지 500...
주암역사연구실(2023-03-18 06:44:00)
신라 후기 전형적인 삼층석탑 양식이다. 2층 기단 위에 삼층석탑을 올리고 규모는 작고 날씬해지는 양식이다. 이 서탑의 2층 기간에는 한 면에 2명씩 8명의 신중상을 양각해 놓았는데, 천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참 선명하게 남아있다. 3. 포석정(사적1호) 그냥 어렸을 적 들은 말도 안되는 역사 이야기가 코미디 한 줄...
나그네 부부 여행기(2021-05-07 00:28:00)
진시왕능으로부터 동쪽으로 1350m떨어진 곳에서 시양촌에 사는 앙취안이가 이웃농부 몇 사람과 함께 1주일째 우물을 파고 있었다. 1974년 3월29일.4m쯤 파들어가자 땅속에서 진흙을 구워 만든 사람 인형 조각이 나왔다. “벽돌 가마터인 줄 알았더니 웬 도용(陶俑;도기 인형)이지? 자 어서들 팝시다.어쨌든 물만...
"꽃가마 결혼"의 블로그(2005-06-01 18:18: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